넋두리

[스크랩] 경

바이크투어러 2006. 6. 30. 20:19
(經)

[집집마나 문밖에 나서면
서울길이 훤히 뚤려있는데
큰길 마다하고
작을길은 왜 찾는가]
경이란 부처님의 말씀이다.
경()은 길이요 곧은 부처님의 말씀이다.
곧고 바른길, 세상 바르게 살아가는 올바른 이치에 대한 부처님의 말씀이 경이다.
말은 마음의 표현이다 거짓말이건 진실한 말이건
그것은 모두 마음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말은 곧 마음이요, 부처님의 말씀이다.
이모양도 색깔도 없는 마음을 말이라는 수단을 통해 밖으로 쓸어낸것이 경이다.
말을 못하는 벙어리는 손짓 발짓으로 뜻을 전하고
어린아기는 오직 울음소리 만으로 온갖 뜻을 표현한다.
말이란 마음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므로
바로 마음인것이다.
그로므로 부처님의 말씀인 경(()이란 부처님의 곧고 바른 마음이다 부처님의 마음이 어찌 비뚤어지고 삿된 마음이 있으리오
마는 중생들의 편의를 위해 그렇게 표현하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왕궁의 영화 가운데서도 항상
떨쳐 없애지 못하시던 근심.걱정을 보리수 밑에서
새벽별을 보시고 떨쳐보시고 깨달음을 얻으신 후에야 비로소 떨쳐버릴수
있었던 것이다.
그때 깨달음 마음이 그때 비로소 도달한 편안한 마음이 바로 곧고
바른 부처님 마음이다.
아뇩다라 삼먁삼보리다. 이마음을 말로써 표시한것이 곧 경이다
그러면 부처님이 깨달아 얻으셨다는 근심 걱정없는 마음은 어떤 것인가?
그것은 스스로 깨달아야만 알수있는 것이다
물은 마셔보아야 그 시원하고 따뜻함을 스스로
알수있고 밥은 먹어보아야 배부름을 얻을수있기 때문이다. 부처님께서 깨달으시고 나서 45년간 중생들을 위하여 수만가지 방편(( 方便)으로 약 처방을 떼어 주신것은 오직 이마음 깨치는 한가지 목적을 위한 것이다.
진실한 약사(( 藥士)가 처방을 할때는 오직 병낫기를 목적 으로 하듯 부처님의 8만 4천 법문은
이마음 깨치는 목적하나를 위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삼승, 십이부 경전이 따로 다른뜻이 없고 오직 일승(( 一乘)만이 참다운 부처님의 본뜻이라고 하는것이다.
일승이란 무엇인가?
<마음깨쳐 부처되는것이다>
너도나도 마음을 깨달아 편히 살자는 것이 부처님의 바른말씀인 일승법문이다.
경은 부처님 말씀이요, 말씀이므로 부처님의
마음이다 이마음은 부처님이라해서
두개가 아니요 중생이라고 해서 반쪽이 아니다 이름도 성도 없으되 누구에게나 있는것이다.
그러나 있다고 하지만 들어내 보일수 없고 없다고
해도 감출수 없는것이다.
그러므로 말끝에서 알아차리면있다. 없다에 관계없이 그마음을 아는 것이다.
조주(( 趙州)라는 옛중국스님에게 어떤 중이 물었다.
[스님 , 저개에게도 불성(( 佛性)이 있읍니까?]
부처님께서는 일찌기 꿈틀거리는 벌레까지도 불성이 있다고 했다 불성이란 마음을 달리 표현한 이름이요 곧 생명의 본질, 삶의 주체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에게 불성이 없을리 없지 않는가
그러나 조주스님의 대답은 달랐다.
[없느니라!]
이것을[개에게 불성이 없다]
고 하는 구지불성이란 공안이다 공안이란 화두라고도 하는데 참선하는 사람이 오직 한마음으로 참구하는 명제즉 의심덩어리를 말한다.
[왜 없다고 했는가?]
조주스님이란 부처님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는 큰스님이다 이분이 거짓말을 했을리 없다 그렇다면 부처님이 거짓말을 했을까?
그럴리 없다, 참으로 알수 없다. 이알수 없는 의심이 바로 마음을 깨닫게 하는 지름길이다.
<있다 없다>는 분명히 다른데 부처님은,<있다>
하시고 조주스님은<없다> 했다.
왜 없다고 했는지 없다고 한 이말의 본뜻이 어디 있는가? 이뜻을 바로 깨달으면 조주스님의 뱃속을 들여다본것이다 조주스님이 마음을 깨달은것이오 그것은 곧 자기 마음을 깨친것이요 부처님 마음, 지렁이 마음, 개의 마음까지도 깨달아 아는것이다 그러므로 말은 곧 마음이다.

자! 그러면 왜 없다고 했는가?
조주스님이 불성이 없다고 했지만 있다 없다 관계없이 개는 허공에 뜬달을 보고 짓기도하고
도둑의 바지가랭이를 물기도 하는것이다.
(더 말했다간 물에 빠진 논 건지려다 저마저 빠져 죽는격이다. 이보다 더가깝게 이야기하면 알아도 죽는길이다)
여기서 알아차리면 대장부의 할일이 이미 끝난 것이다. 경은 부처님의 말씀이요 말씀은 마음이다.
이마음은 꿈틀거리는 벌래까지도 다 갖고 있는것이요 부처님의 것이 더크고 중생의 것이 더작은 것이 아니다.
참다운 경은 글자로된 경전이 아니고
바로 이 한마음인 것이다
8만 대장경이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지만
그것은 수소폭탄이락도 터지면 글자하나 남지
않을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구가 가루가 되고 허공이 부서져서 티끌이 된다해도 조금도 손상이 없는경
이경은 우리들 모두가 갖추고 있다 일부러 경판을 머리에 이고 탑돌이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이다. 경판이란 죽을글자요 경판을이고 탑돌이 하는 신남신녀는 살아있는 경이다 산경이 죽은경을 이고 도니 이 아니우스운일인가!
누구에게나 앉고서고 눕고 잠잘때고 항상 같이 하는 한권의 거룩한 경이 있는것이다.
나에게도 이 한권의 경이 있는데 펼치지 않아도
그뜻이 훤하다.
[재주의 삼월은
유채꽃이 활짝피고
뽕도 따고 님도보는
꿀벌들의 낙원일세}

자광 합장
출처 : 산사가는길
글쓴이 : jakwang 원글보기
메모 :

'넋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행  (0) 2006.06.30
[스크랩] 관자재 보살(觀自在菩薩)  (0) 2006.06.30
[스크랩] 마음(심)  (0) 2006.06.30
[스크랩] 저언덕에 이르다.(파라밀다)  (0) 2006.06.30
[스크랩] 지혜(반야)  (0) 200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