넋두리

첫인상을 버리는 것이 중요하다

바이크투어러 2004. 11. 11. 17:56
독심술의 비밀
첫인상
시간적으로 확대해서
경험을 토대로 일반화
카데고라이즈 경향
비유적인 일반화

서로가 같은 인간인데 우리는 어째서 상대방의 마음을 정확하게
읽지 못하거나 때때로 잘못 읽는 것일까?
우리들이 만약 우리 내부에 억압되어 있는 갖가지 충동이나
욕구 등을 있는 그대로 의식하게 된다면, 우리는 너무나 강한
불안이나 공포,그리고 불쾌감을 갖게될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은 무의식적으로 마음의 안전장치(자기 방어기제)
를 작용시켜 그러한 불안이나 공포,불괘감 등을 다른 형태로 바꿔놓는다.
이처럼 우리의 생생한 감정을 자기 방어기제가 수식.가공하기 때문에
좀처럼 상대방의 마음을 알아 내기 어려운것이다.
우리가 잘못읽는 것은 이와 같은 무의식 중에 억압되어 있는
개인의 마음만이 아니다,우리들을 둘러싼 현실 환경(대인관계도 포함)
즉 외부 환경도 갖가지 불안이나 공포 불쾌감 등으로 인해
제대로 그 참모습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외부자극에 대한 마음의 내성에는 한도가 있다.
마음의 저항력(자아의 강인성)을 넘어설 만한 자극이 주어지게 되면
그중압감을 잘처리하고 조화를 유지하려는 작용으로서 마음의 안전장치가 기능을 발휘한다.
그런데 마음의 위기를 깨달았을때의 방어기제의 활동은 개개인에따라서
또는 그상황에 따라서 각기 다르기 때문에 사람의
마음을 잘못 읽을수밖에 없는것이다.
도시 사람들은 농촌 사람들보다 외부환경에 작용시켜 감정의조화를
이루려 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즉 자신의 진정한 마음을 몇겹의 오블라토로 싸서 복잡하게 만들어
버리는 것이다.
지방에서 상경한 사람들 대부분은'도시사람은 너무 빈틈이 없어서...
라는 말은 곧잘 입에 담는데 이것은 도시인의 마음을 읽기 어렵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도시인의 마음을 정확하게 읽으려면
그들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마음을 감싸고 있는 오블라토를 제거해야 한다
즉 색안경을 벗고 관찰하면 되는것이다.
이경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첫인상 을 성립시키는
요소들을 버리는 것이다. 상대방에 대한 첫인상은 다음 다섯가지 요소들로
이루어진다는 세코드의 추정방식 이론이 있다
이세코드 이론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시간적으로 확대하여 생각하는 과정
이것은 일시적인 것을 항구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말한다
예를 들면 한사람의 웃고 있는 모습을 본뒤로 그사람에 대해
'선량하고 마음씨 좋은 사람' 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는것 따위이다.
(2) 이전에 겪은 경험을 토대로 일반화하려는 경향
이전에 있었던 특정인과의 대인관계 경험을 토대로 초면인
사람에게도 같은 관계를 그대로 유입시키는 경향이다
상대방에 대한 판단이 애매하면 애매할수록 이일반화 경향은 강해진다.
(3)카테고라이즈 경향
미리부터 준비된 몇가지 틀속에 타인을 포함시키는 경향이다
예를 들면 상대방의 나이를 보고 그나이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침착하다 든가 그다지 정열적이 아니다' 라는 식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4) 기능적 특성에 기초를 둔 추정
예를 들면 입은 말은 하는데 쓰이므로 입이 작은 사람은'
과묵하다'라고 추정한다거나, 이마가 넓고 튼 사람은'지능이 높다'.
안경을 낀 사람은 '지적이며 근면하다'라고 생각하는 등 의 경향이 이에 해당한다
(5) 비유적 일반화
'더부룩한 머리에 '거친피부' 를 가진 사람은 매우 수수한 성격을
지녔을 거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가리킨다.